등록일 : 2019.05.02 | 조회수 : 2787 | |
---|---|---|
제목: | BNK금융경영硏 동남권연구센터, ‘사물인터넷 산업현황과 동남권 발전과제’ 보고서 발표 | |
BNK금융경영硏 동남권연구센터, ‘사물인터넷 산업현황과 동남권 발전과제’ 보고서 발표
동 보고서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로 빅데이터, 인공지능 등 다양한 첨단기술이 주목받는 가운데 사물인터넷은 초연결성과 초지능성
기반의 미래사회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. 스마트가전, 스마트홈 등 일상생활에서뿐만 아니라 산업전반으로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되며 영향력을 한층 높여나갈 것으로 전망했다. 동남권 지자체와 기업들도 사물인터넷 활용을 통한 미래성장동력 마련에 더욱 힘을 쏟고 있다. 스마트시티, 스마트팩토리 구축과 함께
커넥티드카, 스마트쉽 등 주력산업 혁신으로 도시 및 산업구조 재편을 적극 도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. 사물인터넷 산업 활성화의 기반이 되는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은 70~80%가 수도권에 입지하고 있는 상황으로 나타났다.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에 해당하는 23개 업종(표준산업분류 세세분류 기준)에 속한 업체중 사업체수 기준 74.3%, 종사자수 기준 78.2%가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. 동남권 사물인터넷 잠재산업군의 전국대비 비중은 사업체수 기준 7.2%(2,032개), 종사자수 기준 3.7%(18,838명)로 나타났다. 한편 사물인터넷 생태계는 디바이스, 네트워크, 플랫폼, 서비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국과 동남권 모두 서비스 및 플랫폼이 중심인 것으로 나타났다. 동남권의 경우 서비스 업체 비중이 41.9%(852개), 플랫폼 28.9%(588개), 디바이스 18.7%(380개), 네트워크 10.4%(212개) 순으로 조사되었다. 향후 동남권은 지역 사물인터넷 산업의 저변확대를 위해 잠재산업군 관련 스타트업 창업 활성화 및 기업유치 등으로 다양한 플레이어를 확보할
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. 또한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레퍼런스 구축 및 R&D 투자 등에 중점을 둔 성장사다리형 정책 지원을 통해 기업들이 규모를 확대할 수
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. 마지막으로 사물인터넷 산업은 초연결성, 초지능성의 특성상 기존 산업과 달리 모든 생태계 부문이 상호 연계되어 진화·발전한다는 점에서 협업의
중요성이 매우 커 협업을 가로막는 규제요인, 환경요인 등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하여 협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
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.
|
||
파일첨부 | BNK경제인사이트 2019년 4월호.pdf |